새마을운동중앙회 새마을운동중앙회

SNS바로가기

  • 등록일 : 2022-06-20
  • 작성자 : 새마을운동중앙회
조회수 : 199
봉사활동과 국민운동, 그리고 시민과 국민

전국 50여 개 대학과 새마을동아리 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기 위해서 전국의 여러 지역을 다니고 있습니다그럴 때 마다 그 곳의 대학 관계자뿐만 아니라 새마을지도자들을 만나게 되지요그분들로부터 많은 얘기를 듣고 또한 새마을에 대한 저의 구상도 말씀드릴 수 있어 아주 유익한 시간을 갖게 됩니다.

얼마 전 공주에서 어느 새마을지도자 한 분을 만났는데그분은 새마을이 봉사단체가 아니라 국민운동단체라는 것을 특별히 강조했습니다봉사보다는 더 포괄적인 국민운동을 한다는 것이지요결론부터 얘기하면 그분 말씀이 맞습니다. 50년 간 지역 공동체를 위한 봉사활동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봉사단체라고 하는 것이 맞는 말이지만새마을운동은 봉사의 차원을 넘어 의식개혁을 위한 운동을 벌이는 국민운동단체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입니다.

새마을운동에서 하고 있는 공동체운동은 봉사활동이지만생명운동이나 평화운동은 국민운동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여기서 봉사와 국민운동의 차이를 설명하면봉사는 국가나 사회 또는 남을 위하여 자신을 돌보지 아니하고 힘을 바쳐 애쓰는 것을 말하고국민운동은 일정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대다수 국민이 참여하는 활동을 말하는 것이지요공동체를 위한 섬김과 나눔의 활동은 봉사활동입니다그러나 새마을운동 초기부터 강조했던 잘 살아보자’ 또는 우리는 할 수 있다는 의식개혁운동은 봉사에 국한되기 보다는 국민운동의 차원이지요최근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중립 실천운동이나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평화운동은 봉사보다는 국민운동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국민운동과 시민운동의 차이에 대해서도 설명할 필요가 있네요왜 우리는 시민운동이라고 하지 않고 국민운동이라고 하는가? ‘시민은 사익을 추구하는 존재인 동시에 타인의 자유를 존중하는 존재이며, ‘국민은 국가를 이루는 구성원 전체로서 자유뿐만 아니라 의무를 지는 존재라고 규정합니다이렇게 볼 때 새마을운동은 공동체에 대한 권리와 책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민운동이며전 국민을 대상으로 국가를 위해 의식 개혁에 참여하게 하는 국민운동입니다.

정상적인 민주주의에서는 국가의 통치와 시민의 자율이 선순환 관계를 이루는데새마을운동은 공동체 현장에서 이 두 요소를 조화시키는 활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따라서 새마을운동은 자율적인 참여를 통해 시민의식이 발현된다는 점에서는 시민운동이고동시에 국민적 사명감과 의무를 충실히 한다는 점에서는 국민운동입니다.

한 가지 첨언하면 언어는 습관의 산물입니다미국 대통령은 보통 친애하는 시민 여러분이라고 말문을 여는데우리나라 대통령은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이라고 합니다아마 우리나라 대통령이 친애하는 시민 여러분이라고 한다면 그 용어의 정확한 개념 사용여부와는 관계없이 듣는 사람들은 어리둥절할 것입니다새마을에서 시민운동이라 하지 않고 국민운동이라 하는 것도 이러한 언어 사용의 습관적 용례가 적용된 것이겠지요.

 

 

(이 글은 <중도일보> 2022.1.7. 게재되었습니다)